반응형
1. 개요
T-test는 선수의 전진, 사이드스텝, 후진 능력을 포함하여 다방향 민첩성(omnidirectional agility)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폐쇄형 테스트입니다.
테스트 이름은 코스 구성이 ‘T’ 자 형태로 되어 있는 것에서 유래하였습니다.
Semenick (1990): “T-test는 방향 전환 민첩성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은 테스트 중 하나이다.”
2. 테스트 구성 및 거리
콘 배치

포인트 | 설명 | 거리 |
A | 출발점 | - |
B | 중심 콘 (전진 10야드) | A–B: 9.14m |
D | 좌측 콘 | B–D: 4.57m |
C | 우측 콘 | B–C: 4.57m |
A | 후진 종료 지점 | B–A: 9.14m |
3. 수행 절차
- 출발지점 A에서 전방 9.14m 전력질주하여 중심 콘(B)에 도달
- 우측 콘(C)까지 사이드 스텝(4.57m)
- 좌측 콘(D)까지 사이드 스텝(9.14m)
- 다시 중심 콘(B)까지 사이드 스텝(4.57m)
- 출발 지점(A)까지 후진(9.14m)
→ 총 이동 거리: 약 36.6m
→ 기록은 출발부터 A로 복귀할 때까지의 시간 측정
주의: 사이드 스텝 중에는 다리가 교차하지 않도록 한다. (Shuffle)
4. 측정 항목 및 분석
항목 | 의미 |
총 시간 | 전체 민첩성 수행 속도 |
사이드스텝 효율 | 양측 이동 속도 및 리듬, 이동 자세 안정성 |
후진 능력 | 후진 가속과 하체 파워의 제어 능력 |
무게중심 제어력 | 중심 콘(C) 진입 및 회전 시 무게중심 이동의 안정성 여부 |
5. 엘리트 축구선수 기준 기록
연령대 | 평균 기록 | 상위 10% 기준 |
U13–U15 | 10.2–11.0초 | ≤ 9.8초 |
U16–U18 | 9.5–10.5초 | ≤ 9.2초 |
성인 프로 | 9.0–10.0초 | ≤ 8.8초 |
보통 9.0초 이하는 우수 수준, 8.5초 이하는 상위 5%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6. 장점과 단점
장점 | 단점 |
여러 방향 움직임을 통합한 종합 민첩성 측정 가능 | 반응성(인지-판단 요소)는 평가되지 않음 (폐쇄형 테스트) |
정량적이고 반복 가능한 구조 | 신경계 민첩성이나 게임 상황과의 직접적 전이는 제한적 |
측면 이동 + 후진 동작까지 포함 → 축구 포지션별 적용 가능 | 발 교차나 방향전환 오류 시 기록 신뢰도 저하 위험 |
7. T-test 기록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전략
훈련명 | 목적 |
사이드스텝 저항 훈련 | 이동 중 고관절 제어 및 무게중심 안정화 향상 |
후진 달리기 Drill + 저항 밴드 | 후방 가속 능력 강화 및 발 디딤 각도 최적화 |
COD + Stop Drill | 급제동–방향 전환 타이밍 최적화 |
Plyometric + Shuffle 연계 | SSC 기반 가속-감속 리듬 최적화 |
8. 참고 문헌
- Semenick, D. (1990). Tests and Measurements: The T-Test. NSCA Journal
- Pauole, K., Madole, K., et al. (200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test as a measure of agility, leg power, and leg speed in college-aged men and women.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14(4), 443–450.
- Brughelli, M., Cronin, J., Levin, G., & Chaouachi, A. (2008). Understanding change of direction ability in sport. Sports Medicine, 38(12), 1045–1063.
반응형
'스포츠 과학 > 훈련 디렉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이오메트릭][Bounding 훈련: 파워, 리듬, 이동 민첩성 훈련] (2) | 2025.05.06 |
---|---|
[플라이오메트릭][뎁스 점프, 드롭 점프] (0) | 2025.05.06 |
[민첩성][Illinois Agility Test: 전신 이동 민첩성과 순발력 평가] (2) | 2025.05.06 |
[민첩성][Y-Agility Test: 반응 기반 민첩성과 의사결정 능력 평가] (1) | 2025.05.06 |
[민첩성][5-10-5 Shuttle Run: 방향전환 테스트의 표준]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