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개요
Illinois Agility Test는 직선 가속, 코너링, 곡선 속도 조절, 중심 이동 제어까지 평가할 수 있는 복합형 민첩성 테스트입니다.
기초체력 평가뿐만 아니라, 유소년부터 성인 엘리트 선수까지 모두 적용 가능하며, 국제적 기준이 잘 정립되어 있어 비교가 용이합니다.
Barrow & McGee (2003): "Illinois Agility Test is one of the most valid and reliable agility assessments available for general athleticism."
2. 테스트 구성
장비:
- 콘 8개
- 평평한 인조잔디 또는 트랙
- 스톱워치 또는 광전자계측기 (권장)
콘 배치 및 거리:
- 직선 길이 (A~B): 10m
- 폭 (A~D): 5m
- 중앙 콘 간 거리: 3.3m 간격으로 4개 배치
3. 테스트 절차
- A에서 출발 → B까지 직선 10m 가속
- 중앙 콘 구간 지그재그로 주파
- 다시 지그재그 후 직선 복귀
- 마지막으로 C–D까지 직선 10m 질주
→ 총 거리: 약 60m
→ 측정 시간: 출발부터 D도착까지
4. 측정 목적 및 항목
항목 | 설명 |
전방 가속 | 직선 구간에서의 출발 및 속도 증가 능력 |
방향 전환 민첩성 | 코너 지점 및 곡선 경로에서 방향 변경 속도 |
무게중심 제어력 | 좁은 곡선에서의 회전 및 균형 유지 능력 |
감속–재가속 조절 능력 | 지그재그 반복 중 가속과 감속 리듬을 조절하는 능력 |
총 수행 시간 | 종합적 민첩성 속도와 수행 정확성의 통합 지표 |
5. 엘리트 축구선수 기준 기록
연령대 | 평균 기록 | 상위 10% 기준 |
U13–U15 | 17.0–18.5초 | ≤ 16.5초 |
U16–U18 | 16.0–17.2초 | ≤ 15.5초 |
성인 프로 | 15.2–16.5초 | ≤ 14.8초 |
15.0초 이하를 기록하는 선수는 최상위 민첩성 보유자로 평가 가능.
6. 장점과 한계
항목 | 장점 | 한계 |
평가 범위 | 전방·측방·곡선·회전 포함 전신 민첩성 측정 | 반응성, 인지적 요소 포함되지 않음 |
반복성 | 국제 기준이 명확, 연령별 표준 존재 | 피험자 키, 다리 길이에 따라 유불리 발생 가능 |
운동 유사성 | 경기 중 연속된 움직임 패턴과 유사 | 방향 전환이 정해져 있어 실제 경기의 불확실성과는 거리 있음 |
7. Illinois 기록 향상을 위한 훈련 전략
훈련명 | 목적 |
곡선 달리기 Drill | 회전 반경 내에서의 무게중심 제어 능력 강화 |
코너링 훈련 (Cone Zigzag) | 방향 전환 타이밍 조절 및 다리 회전 패턴 숙련 |
180도 Cut & Turn Drill | 급선회에서의 감속–가속 연계 훈련 |
Hurdle + Sprint 연계 | 감속 리듬 조절과 재가속 구간 반응 속도 향상 |
8. 참고 문헌
- Barrow, H. M., & McGee, R. (2003). A practical approach to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 Roozen, M. (2004). Illinois agility test as a measure of performance in sports training. NSCA Performance Training Journal.
- Lockie, R. G., et al.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of-direction speed, linear sprint speed, and lower-body power in team-sport athletes. Journal of Human Kinetics, 36, 149–157.
Illinois Agility Test는 민첩성 기초 수준 파악, 전방위 동작 제어 능력 평가, 유소년 체력 평가에 이상적인 도구입니다.
반응형
'스포츠 과학 > 훈련 디렉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이오메트릭][Bounding 훈련: 파워, 리듬, 이동 민첩성 훈련] (2) | 2025.05.06 |
---|---|
[플라이오메트릭][뎁스 점프, 드롭 점프] (0) | 2025.05.06 |
[민첩성][T-Test: 전방위 방향 전환과 민첩성 평가를 위한 표준] (1) | 2025.05.06 |
[민첩성][Y-Agility Test: 반응 기반 민첩성과 의사결정 능력 평가] (1) | 2025.05.06 |
[민첩성][5-10-5 Shuttle Run: 방향전환 테스트의 표준]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