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기화3 [팀 훈련 주기화 1시즌 고려사항 (Periodized Training Plan)] - 시즌 구성시즌 단계기간주요 목표오프시즌 (Off-season)4~6주회복, 기초체력 강화, 근력·근지구력 재구축프리시즌 (Pre-season)6~8주파워·스피드·민첩성 향상, 전술 훈련 시작인시즌 (In-season)9~10개월경기력 유지, 부상 예방, 기술·전술 통합전환기 (Transition)2~4주심리적·육체적 회복, 가벼운 유산소 및 Mobility 유지 참고 논문:Turner, A. N. (2011).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eriodization: A brief review. Strength & Conditioning Journal, 33(1), 34–46. - 체력 요소별 비중 (%)에 따른 시즌별 분포체력 요소오프 시즌(%)프리 시즌(%)인시즌(%)Stren.. 2025. 4. 27. [비시즌과 시즌중의 훈련주기화 (Periodization) 차이] - 축구선수의 퍼포먼스 향상과 부상 예방을 위한 과학적 접근훈련 주기화(Periodization)란?Periodization은 운동 강도와 볼륨을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경기력 향상과 부상 예방을 목표로 하는 훈련 설계 전략입니다. 전통적으로 Macrocycle(연간), Mesocycle(월간), Microcycle(주간) 단위로 구성되며, 선수의 시즌 단계에 따라 훈련 목표와 내용이 달라집니다 (Turner, 2011). 참고 논문: Turner, A. N. (2011).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eriodization: A brief review. Strength & Conditioning Journal, 33(1), 34–46. https://doi.org/10.1519/SS.. 2025. 4. 23. [엘리트 축구의 세분화된 훈련 일정:언제 쉬어야 하는가?] [엘리트 축구의 세분화된 훈련 일정: 언제 쉬어야 하는가?] [Planning the microcycle in elite football: to rest or not to rest?] 엘리트 축구에서 세분화된 1~2주 단위의 단주기를 계획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복잡하다. 하지만, 스포츠 사이언티스트들 모두 운동과 적절한 회복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은 동의한다. 자세하게 선수들에게 하루 또는 이틀의 휴식을 주는 것과 부상률의 관계를 살펴보고, 경기 후 며칠 후에 휴식을 취할 것인가와 같은 관련 데이터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 논문을 기반으로 엘리트 팀들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휴일 프로그래밍과 부상률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2018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잉글랜드 EPL, 이탈리아 세리.. 2023. 2.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