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민첩성테스트4 [민첩성][Illinois Agility Test: 전신 이동 민첩성과 순발력 평가] 1. 개요Illinois Agility Test는 직선 가속, 코너링, 곡선 속도 조절, 중심 이동 제어까지 평가할 수 있는 복합형 민첩성 테스트입니다.기초체력 평가뿐만 아니라, 유소년부터 성인 엘리트 선수까지 모두 적용 가능하며, 국제적 기준이 잘 정립되어 있어 비교가 용이합니다. Barrow & McGee (2003): "Illinois Agility Test is one of the most valid and reliable agility assessments available for general athleticism."2. 테스트 구성장비:콘 8개평평한 인조잔디 또는 트랙스톱워치 또는 광전자계측기 (권장)콘 배치 및 거리: 직선 길이 (A~B): 10m폭 (A~D): 5m중앙 콘 간 거리: 3... 2025. 5. 6. [민첩성][T-Test: 전방위 방향 전환과 민첩성 평가를 위한 표준] 1. 개요T-test는 선수의 전진, 사이드스텝, 후진 능력을 포함하여 다방향 민첩성(omnidirectional agility)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폐쇄형 테스트입니다. 테스트 이름은 코스 구성이 ‘T’ 자 형태로 되어 있는 것에서 유래하였습니다. Semenick (1990): “T-test는 방향 전환 민첩성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은 테스트 중 하나이다.” 2. 테스트 구성 및 거리콘 배치 포인트설명거리A출발점-B중심 콘 (전진 10야드)A–B: 9.14mD좌측 콘B–D: 4.57mC우측 콘B–C: 4.57mA후진 종료 지점B–A: 9.14m3. 수행 절차출발지점 A에서 전방 9.14m 전력질주하여 중심 콘(B)에 도달우측 콘(C)까지 사이드 스텝(4.57m)좌측 콘(D)까지 사이드 스텝(9... 2025. 5. 6. [민첩성][Y-Agility Test: 반응 기반 민첩성과 의사결정 능력 평가] 1. 개요 및 정의Y-Agility Test는 전방으로 일정 거리 질주한 후, 시각 자극(visual cue) 또는 코치의 지시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테스트입니다. 이 테스트는 단순한 물리적 방향 전환보다 더 중요한 지각(perception)–판단(decision)–실행(action) 능력을 포함하여 게임 상황 유사도가 매우 높은 민첩성 평가 도구입니다. Young et al. (2015): “Reactive agility tests better simulate sport-specific demands compared to closed agility tests.” 2. 테스트 구성장비:콘 또는 라이트 센서 3개반응 트리거나 코치 지시GPS 또는 광전자 시스템 (권.. 2025. 5. 6. [민첩성][5-10-5 Shuttle Run: 방향전환 테스트의 표준] 1. 개요5-10-5 Shuttle Run은 운동선수의 방향전환 민첩성(Change of Direction Agility)을 측정하는 표준 테스트입니다.총 20미터 거리를 사용하며, 짧은 거리에서의 가속-감속-방향 전환 능력을 확인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2. 측정 목적방향 전환 능력(COD)가속 및 감속 능력하지 파워 및 균형좌우 방향 이동의 비대칭 분석부상 후 회복 진행 측정 (예: ACL 복귀 전 평가)이 테스트는 민첩성의 ‘물리적 구성 요소’를 측정하는 대표적 폐쇄형(closed skill) 테스트로 간주됩니다.(Sheppard & Young, 2006)3. 진행 방법 (절차)준비 사항:3개의 콘 또는 센서 (0m, -5m, +5m 위치)평평하고 미끄럽지 않은 지면광전자계측기(있으면 권장), 수동.. 2025. 5.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