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Bounding이란?
Bounding은 한쪽 다리에서 반동을 이용해 앞으로 튕겨 나가듯 연속 점프하는 훈련으로, 파워(힘), 리듬감, 무게중심 조절, 스프린트 주기 개선을 동시에 겨냥합니다.
이동 방향은 보통 직선이며, 단거리 스프린터나 축구, 럭비, 농구 등 폭발적 움직임이 필요한 종목에서 필수적인 드릴입니다.
간단히 말해, ‘스프린트 동작을 과장해서 하나하나 점프처럼 수행하는 점프형 달리기’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2. 핵심 훈련 목표
항목 | 설명 |
지면 반발력 향상 | 각 다리마다 강한 추진력 발휘로 파워 상승 |
신경계 반응성 향상 | 리듬 속도와 바운드 타이밍의 정교함을 통해 반응 개선 |
밸런스 및 중심 제어 | 착지 시 무게중심 이동 제어, 불균형 교정 효과 |
스트라이드 메커니즘 개선 | 스프린트 시 한 다리 추진 – 공중 구간 – 착지 흐름 전반의 기술 향상 |
3. Bounding의 종류
종류 | 설명 | 대상 수준 |
Alternating Bounding | 양다리를 번갈아 사용하며 직선 방향으로 연속 점프 수행 | 중급~고급 |
Single-Leg Bounding | 같은 다리로 연속 점프 수행 (축이나 안정성 강조) | 고급 |
Lateral Bounding | 좌우 방향으로 사선 또는 측면으로 점프 (민첩성, 사이드 반응성 향상) | 전 수준 |
Mini Bounding | 짧은 반동의 리듬 훈련, 착지·출발 타이밍 교정용 | 초급~중급 |
Sprint Bounding Combo | Bounding 10m + Max Sprint 10m 연계 (실전 전이 훈련) | 고급 |
4. 수행 방법 (Alternating Bounding 기준)
- 한쪽 다리로 힘껏 밀어내며 앞으로 튀어오르기
- 공중에서는 반대 다리를 앞으로 빠르게 이동시키기
- 착지 후 반대 다리로 곧바로 다음 반동
- 리듬: “1-2-1-2” 식으로 자연스러운 박자감 유지
시선은 정면, 팔은 러닝 동작과 동일하게 스윙하여 균형 유지
5. 반복 구성 예시
목표 거리 | 반복 횟수 | 세트 | 회복 시간 |
20m | 2회 | 3~4세트 | 60~90초 |
구간 내 점프 수 | 8~12회 |
6. 적용 팁
- 초급자는 5~10m 거리에서 낮은 반발로 시작
- 고급자는 20m 이상 거리 + 스프린트 연계 훈련 추천
- 지면 반동 타이밍과 착지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
- 무릎이 안으로 무너지지 않도록(내반 방지) 중심선 유지
7. 축구에의 적용 예시
포지션 | 효과 |
센터백 | 수직 반응력 향상 → 점프 전 강한 추진력 강화 |
풀백/윙어 | 리듬 주도 움직임 개선, 가속-감속 연계 능력 향상 |
미드필더 | 균형과 리듬, 다리간 협응력 개선 → 공간 압축/해제 대응력 증가 |
스트라이커 | 세컨드볼 반응 + 발 빠른 회복 동작 능력 향상 |
8. 대표 참고 문헌
- Markovic, G. (2007). Does plyometric training improve vertical jump height? A meta-analytical review.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1(6), 349–355.
- Chelly, M. S., & Denis, C. (2001). Leg power and hopping stiffness as determinants of sprint running performanc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3(2), 326–333.
반응형
'스포츠 과학 > 훈련 디렉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MS 7가지 항목 상세 설명 및 점수 기준 1] (2) | 2025.05.11 |
---|---|
[유산소][호프 드리블링 트랙-Hoff Dribbling Track (Hoff-Test)] (0) | 2025.05.08 |
[플라이오메트릭][뎁스 점프, 드롭 점프] (0) | 2025.05.06 |
[민첩성][Illinois Agility Test: 전신 이동 민첩성과 순발력 평가] (2) | 2025.05.06 |
[민첩성][T-Test: 전방위 방향 전환과 민첩성 평가를 위한 표준] (1)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