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과학/유소년

[PHV(신체 급성장 시기): 유소년 운동 선수의 성장과 훈련을 결정하는 골든타임]

by Football Science Lab 2025. 4. 15.
반응형

- PHV란 무엇인가?

PHV(Peak Height Velocity)는 인간의 성장 곡선중 가장 빠르게 키가 증가하는 시기를 의미한다. 이 시기는 보통 여아는 11.5세, 남아는 13.5세 전후에 나타나며, 연간 최대 10~12cm의 신장 증가가 관찰한다. (Malina et al., 2004)

 

PHV는 단순한 키 성장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 능력, 체력, 기술 습득, 부상 위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전환점이다. 따라서 이를 인지하고 조절하는 것은 유소년 선수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 PHV와 트레이닝 반응의 관계

연구에 따르면, PHV 전후의 생물학적 시기에 따라 운동 자극에 대한 반응이 상이하다. Lloyd & Oliver(2012)의 LTAD(Long-Term Athlete Development) 모델에 따르면, 각 시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Pre-PHV (PHV 이전):
    신경계 발달이 활발한 시기로, 속도(speed), 민첩성(agility), 기술(skill) 위주의 훈련이 효과적이다.
  • Circa-PHV (PHV 전후):
    급격한 신체 변화로 인해 균형감각과 협응력 저하, 운동 수행 능력 일시적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부상 예방, 움직임 효율성 회복, 저강도 근력 훈련이 핵심이다.
  • Post-PHV (PHV 이후):
    근육량 증가와 심폐지구력 향상이 나타나는 시기로, 근력, 지구력, 고강도 파워 훈련에 효과적으로 반응한다.

이러한 트레이닝 윈도(training window)는 생물학적 성숙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연령이 아닌 성장 단계 중심의 훈련 설계가 중요하다. (Ford et al., 2011)


- PHV와 부상 위험

PHV 시기에는 뼈의 길이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근육과 건(tendon), 인대(ligament)는 이에 비해 느리게 성장한다. 이로 인해 근육 불균형, 협응력 저하, 부하에 대한 회복력 감소 등이 발생하면서 다음과 같은 성장 관련 부상이 자주 나타난다:

  • 오스굿-슐래터병(Osgood-Schlatter Disease): 무릎 아래 통증
  • 세버병(Sever’s Disease): 발뒤꿈치 통증
  • 척추 측만 및 허리 통증: 급격한 척추 성장에 따른 근육 긴장

Faigenbaum et al.(2009)은 PHV 시기 유소년 선수들의 60% 이상이 성장 관련 부상을 겪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으며, 이 시기에는 강도 높은 반복 운동보다는 기능 회복 중심의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 부모가 알아야 할 PHV 관리 전략

1. 성장 곡선 추적 및 생물학적 연령 측정
아이의 연간 신장 증가량을 기록하고, 성장 속도를 통해 PHV 시기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Mirwald 공식(2002)'은 성별, 연령, 키, 체중, 앉은키 등을 기반으로 PHV 도달 시점을 예측하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활용된다.

 

댓글이나 쪽지 남겨주시면, 아이의 PHV시기와 예상키 등을 아는데 도와드리려고 한다.

 

2. 기술 수행 능력의 일시적 저하에 대한 이해
이 시기에는 기존에 잘하던 동작도 어색해지거나 기술 수행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성장통’의 일부이며, 비난보다는 긍정적 격려와 회복 중심 훈련이 필요하다.

 

3. 부상 방지를 위한 운동 조절
운동량을 일시적으로 줄이고, 체중 부하가 적은 동작(예: 수중 운동, 코어 중심 트레이닝 등)을 활용해 부상을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

특히, PHV가 제각각으로 나뉘는 초, 중학교 운동부에서 선수들의 PHV파악은 필수적이다.

 

4. 회복의 3요소: 수면, 영양, 휴식
PHV 시기에는 10시간 이상의 수면, 충분한 단백질, 칼슘, 철분 섭취, 운동 후 48시간 회복 시간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Jayanthi et al., 2013)


- 결론

PHV는 단순히 "키가 크는 시기"가 아니다. 이는 유소년 선수의 운동 역량이 재정렬되고 재조정되는 핵심 시기다. 이 시기를 제대로 이해하고 준비하는 부모님은 아이의 운동 생애 전체를 바꿀 수 있다.

 

성장의 속도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성장의 리듬을 이해하고 맞춰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레퍼런스

  1. Malina, R. M., Bouchard, C., & Bar-Or, O. (2004). Growth, Maturation, and Physical Activity. Human Kinetics.
  2. Lloyd, R. S., & Oliver, J. L. (2012). The youth physical development model: A new approach to long-term athletic development. Strength & Conditioning Journal, 34(3), 61-72.
  3. Ford, P. R. et al. (2011). The long-term athlete development model: Physiological evidence and application. Journal of Sports Sciences, 29(4), 389–402.
  4. Mirwald, R. L., et al. (2002). An assessment of maturity from anthropometric measurement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4(4), 689–694.
  5. Faigenbaum, A. D., et al. (2009). Youth resistance training: updated position statement paper from the National Strength and Conditioning Association.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3, S60-S79.
  6. Jayanthi, N. A., et al. (2013). Risks of specialized training and growth-related injuries in youth athletes. Pediatrics, 132(6), 1301-13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