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과학/유소년

[유소년 축구 선수의 입장에서 만나야하는 '좋은 코치'란?]

by Football Science Lab 2025. 4. 6.
반응형

 축구는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유소년에게 있어 인성, 사회적, 신체적 능력들을 함께 기르는 소중한 배움의 장이라고 생각한다. 필자가 한국에서 유소년 선수들을 가르치며 느낀 내용, 선수들과 대화하며 선수들이 바라는 점, 한국에서 축구 지도자들이 생각하는 방법들을 느끼고 나서 많은 생각과 고민이 생겼다.

세상에 완벽한 지도자는 없다. 그래도 내 아이를 가르치는 사람인데 최소한의 기준은 가지고 봐야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유소년 축구 선수들이 만나야하는 '좋은 코치'는 어떤 사람일까? 

이번 글에서는 내가 겪은 경험과 전문적인 이론, 각 항목에 대한 실제 예시를 통해 유소년 선수의 눈높이에서 내가 생각하는 좋은 축구 코치의 기준을 나열해보려고 한다.


유소년 축구 선수에게 ‘좋은 코치’의 기준?

1. 교육적 리더십 (Instructional Leadership)

  • 선수의 연령과 발달 단계에 맞춘 기술 및 전술 지도를 제공한다. 
    • 초,중,고,대, 프로산하 유스팀 등 여러 팀들을 지켜본 결과 좋은 팀에 있는 지도자 라고 좋은 훈련을 시키는 것은 아니었다.
  • 좋은 코치들은 훈련 목적과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하며, 왜 이 훈련을 하는지 이해시킨다.
    • 대학 선수들에게 초,중등 수준의 훈련을 시킨다던지, 같은 나이대에서도 프로 산하 유스팀의 선수들을 낮은 레벨의 선수들과 같은 훈련을 시킨다던지의 훈련 난이도 조정 실패훈련 목적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
  • 기술/전술 습득 외에도 **축구 지능(Soccer IQ)**을 함께 향상시킨다.
    • 아직도 많은 지도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그저 주입한다.
    • 예를 들면 훈련시에 선수들이 어떤식으로 생각해야하는지보다 정해진 방법을 따르길 원하는 지도자들이 많다.
    • 내가 봤던 예시는 탈압박 훈련시 선수들이 수비선수들이 다가오는 속도, 방향, 숫자 등을 고려하여 대처하게 하는것이 아니라, '빨리 압박에서 빠져나와!' 같은 추상적인 지시들을 하는 지도자를 많이 봤다.

2. 심리적 안정감 제공 (Psychological Safety)

  • 실수에 대해 질책보다는 학습의 기회로 전환한다.
    • 유소년 선수들에게 실수는 꼭 필요한 과정이다. 선수들이 실수를 함으로써 다음에 같은 장면이 나오면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스스로 깨닫고 한발짝 나아가게 된다.
  • 위협적이거나 과도한 경쟁 중심의 분위기를 피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환경을 조성한다.
    • 하지만, 내가 본 대다수의 지도자들은 소리부터 지른다... 
    • 선수가 본인이 생각한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실수를 하면 굉장히 화를 내며 소리를 지르고, 모든 선수들이 보는데서 크게 지적한다. 
    • 심지어, 경기중에 터치라인으로 불러서 욕하고 때리는 분들도...
  • 선수 개개인의 감정을 존중하며, 위축되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선수들이 자신감을 잃지 않고, 위축되지 않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창의적인 플레이나 도전적인 장면이 자주 나오게 선수들을 독려해야한다. 
    • 내가 본 최고의 지도자분은 프로산하 15세팀에 계시던 한 감독님인데, 선수들이 위험한 전진패스를 시도하다 끊긴 장면에서 "괜찮아! 시도 좋았어. 다음에는 좀 더 빠르게 하자!" 라는 식의 코칭을 하셨다. 
    • 본인도 선수들을 가르치는 입장이지만, 직접 저런 코칭을 받아보고 싶을 정도였다.

3. 개별 성장 중심의 지도 (Player-Centered Coaching)

  • 실력 차이에 따라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다.
    • 모든 선수들은 자신의 속도에 따라 성장해야한다. 신체적 성장이 끝난 고등학생은 좀 더 성인 수준의 훈련이 필요하다. 반대로 아직 성장해야하는 초등학생들은 너무 지나친 피지컬 훈련이나, 긴 시간의 훈련은 지양해야한다.
  • 포지션, 체형, 성향을 고려한 개인별 발전 방향을 제시해준다.
    • 또한, 현대 축구는 포지션 별로 요구하는 신체적 능력이 다르다. 스프린트가 잦은 윙어나 사이드백 플레이어, 점프 동작이 많은 센터백 등 포지션에 따른 요구 동작들에 따라 개인을 발전을 시켜야한다. 
    • 예를 들면 좋은 코치는 체격이 작고 피지컬이 약한 중학교 미드필더 선수에게 피지컬 능력을 키우라고 하지 않는다. 개인 훈련시간에 공간 활용과 빠른 터치에 초점을 맞춘 훈련을 설계해준다.
  • 특정 선수만 중심이 되지 않도록, 모든 선수가 주인공이 되는 경험을 설계한다.
    • 한국 축구는 유소년 때 부터 에이스 중심으로 진행되는 축구를 겪는다. 승리보다 개인들의 발전을 목표로 유소년을 가르쳐야하지만, 그렇게 할 수 없는 제도적인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안타까운 현실....

4. 소통 능력 (Communication Skills)

  • 단순한 명령 전달이 아닌, 이해를 바탕으로 한 소통을 한다.
    • 명확한 소통이 필요하다. 애매하고 추상적인 지시는 선수들의 혼란을 가중시킨다. 훈련 중 선수가 헷갈려 할때 명확하게 '이러이런식으로 움직이면 편할거야'라고 이야기해줘야한다. 
    • 많은 코치들이 '똑바로 움직여!','그렇게 하지마!'와 같은 애매하고 주입식의 지도를 한다.
  • 말 뿐만 아니라 표정, 제스처, 시선 등 비언어적 요소도 긍정적으로 활용한다.
  • 질문을 허용하고, 선수가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가장 한국에서 필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교육은 선생님과 학생이 상하관계로 주입식의 교육이 일반화되어있다. 선생은 가르치고 학생은 배운다. 질문하면 버릇없는 학생으로 낙인찍힌다. 
    • 학생이 다르게 생각할수도 있고, 선생님이 틀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의견을 나누고 질문에 올바른 대답을 해주는게 좋은 선생님이라고 생각한다. 

5. 모범적 태도 및 윤리성 (Role Modeling & Ethics)

  • 정직하고 공정한 경기 문화를 강조하며, 스포츠맨십을 지속적으로 교육한다.
    • 필자가 겪었던 모 코치는 선수들에게 강한 압박을 요구하며 상대방 선수를 다치게 하라고 주문했다.
    • '발목을 갈아버려','뒤에서 조져' 등의 지도를 한다. 유소년 선수들에게 저런 주문을 하는것이 올바른지도 파악을 하지 못하는 지도자들이 아직도 많다.
  • 언행에 있어서 일관성과 성숙함을 보여주며, 행동으로 신뢰를 주는 리더다.
    • 좋은 코치는 상대팀 선수들을 배려하고 존중하라고 가르친다.
    • 큰 점수차로 지더라도 끝까지 노력하라고 가르치고, 실력이 떨어지는 팀과 경기를 하더라도 존중하고 집중하라고 가르친다. 
  • 차별이나 편견 없이, 모든 선수를 동등하게 대우한다.
    • 선수들은 지도자를 보고 스포츠맨쉽과 인성을 배운다고 생각한다. 
    • 좋은 인성을 가진 지도자 밑의 선수들은 좋은 인성을 가질것이라고 생각한다. 

6. 장기적인 성장 비전 제시 (Long-Term Athlete Development)

  • 단기 성과(예: 경기 승리)보다, 선수의 장기적인 성장을 우선한다.
    • 한국 축구에서 가장 문제라고 생각하는 부분이다. 성적을 내지 못하면 상급학교 진학에 문제가 생긴다. 지도자 입장에서는 선수 개개인의 발전보다 팀의 승리가 중요하다. 장기적으로 선수의 성장을 목표로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 체력, 기술, 인성, 팀워크 등 종합적인 역량 향상을 목표로 지도한다.
  • 유소년 축구 이후 중·고등학교, 대학, 프로로의 진로 연계를 고려한 조언도 가능하다.

✅ 유소년 선수가 “이 코치는 좋다”고 느낄 수 있는 신호들

  • 훈련이 지루하지 않고 목표가 분명하고 도전적이다.
  • 실수를 해도 위축되지 않고 다시 도전할 수 있는 분위기다.
  • 훈련이나 경기에서 내 의견을 물어봐 주고 존중해준다.
  • 나의 성장을 코치도 함께 기뻐해주고 인정해준다.
  • 팀원들과 함께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훈련하고 있다.

유소년 선수에게 좋은 코치는 단순히 축구를 잘 가르치는 사람을 넘어, 믿고 따를 수 있는 멘토이자 심리적 지지자, 미래를 함께 고민하는 파트너 라고 생각한다. 이 글을 쓰며 나도 스스로 어떤 코치인지 반성하게 된다. 

References

  1. Best Practices for Coaching Soccer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Fork Gov. Retrieved from https://www.americanfork.gov/DocumentCenter/View/5211/USA-soccer_Best_Practicespdf
  2. Player Development Model: Spatial Awareness. US Youth Soccer. Retrieved from https://www.usyouthsoccer.org/wp-content/uploads/sites/160/2023/09/Player-Development-Model-Spatial-Awareness.pdf
  3. Coaching Strategies to Develop Desired Psychological Attributes in Youth Soccer. Taylor & Francis Online. Retrieved from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0413200.2023.2286954
  4. The Academic Background of Youth Soccer Coaches Modulates Verbal Behavior During Training Sessions. PMC. Retrieved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541702/
  5. Youth Soccer Coaching Methodologies' Impact on Enjoyment of the Game and Retention. St. John's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s://scholar.stjohns.edu/cgi/viewcontent.cgi?article=1245&context=theses_dissertations
  6.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in High-Level Youth Soccer Players. Taylor & Francis Online. Retrieved from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7408989.2024.2352828
  7. Developing Specialised Youth Soccer Coaching Qualifications. ResearchGate.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95255319_Developing_Specialised_Youth_Soccer_Coaching_Qualifications_An_Exploratory_Study_of_Course_Content_and_Delivery_Mechanisms
  8. Coaching Knowledge and Noticing in Youth Sports. West Virginia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s://researchrepository.wvu.edu/cgi/viewcontent.cgi?article=7146&context=etd
  9. Coach-led Team Practice in Elite Youth Soccer. ResearchGate.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0039798_Coach-led_team_practice_in_elite_youth_soccer
  10. An Investigation of the Practice Activities and Coaching Behaviors of Professional Top-Level Youth Soccer Coaches. ResearchGate.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9691014_An_investigation_of_the_practice_activities_and_coaching_behaviors_of_professional_top-level_youth_soccer_coache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