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과학/부상

[참지 말고 쉬세요: 뇌진탕]

by Football Science Lab 2025. 5. 4.
반응형

축구선수의 뇌진탕

– 조기 인지부터 안전한 복귀까지 가이드

축구에서 뇌진탕은 더 이상 보기 드문 부상이 아닙니다. 헤더 경합, 팔꿈치 충돌, 골키퍼와의 충돌 등 다양한 상황에서 선수는 머리에 충격을 받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상황 이후 증상이 뚜렷하지 않거나, 경미해 보여서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뇌진탕은 신체적 손상이 보이지 않더라도, 뇌 기능에 일시적인 변화가 생기는 심각한 신경계 부상입니다. 선수의 생명은 물론, 장기적인 두뇌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 축구에서 뇌진탕은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가?

  • 프로 축구 리그 통계에 따르면 1000시간당 0.5~1.5건 수준의 뇌진탕 발생률
  • 여성 선수가 남성보다 뇌진탕 발생률이 1.6배 더 높음 (Giza et al., 2014)
  • UEFA 조사: 뇌진탕 중 약 30%는 경기 중 이어서 뛰는 바람에 증상이 악화됨

2. 뇌진탕이란? (정의와 메커니즘)

"두개골 외부 충격에 의해 뇌가 일시적으로 기능 이상을 일으키는 상태"

  • MRI나 CT에 이상 소견이 없어도 발생 가능
  • 주로 발생 메커니즘: 급가속·급감속으로 인한 뇌의 흔들림 + 신경 네트워크 기능 변화
  • ‘중상’보다 ‘반복된 미세 충격’이 더 큰 장기 손상 유발 가능성 존재

3. 뇌진탕의 주요 증상과 1차 대처법

즉시 의심할 수 있는 증상

  • 멍한 눈빛, 자세 불균형, 느린 반응
  • 두통, 어지럼증, 구역질, 혼란스러움
  • 평형감각 저하, 언어 느려짐
  • 기억 공백 (이전 플레이, 점수 등)

현장에서의 응급 대처

  • 즉시 플레이 중단 및 적극적 안정을 유도
  • 최소 15분 이상 의식 확인 및 휴식
  • 증상 없이도 경기 복귀 금지, 반드시 의료진 판단 후 결정
  • SCAT5, CRT5 등 간이 테스트 활용 권장

4. FIFA 권고 회복 프로토콜: 6단계 복귀 전략 (RTP)

단계 내용
1단계 절대 안정 (증상 없는 상태까지 휴식, 24~48시간)
2단계 일상 생활 복귀 (빛, 소리 적응, 공부/수면 정상화)
3단계 경량 유산소 운동 (빠른 걷기, 고정식 자전거)
4단계 축구 특화 운동 (패스, 드리블, 방향 전환 등)
5단계 팀 훈련 복귀 (컨택 없는 전술 훈련 포함)
6단계 정식 경기 복귀 (의료진 최종 승인 필수)

→ 단계 간 최소 24시간 간격, 증상 재발 시 즉시 전 단계로 복귀


5. 뇌진탕 후 운동 재개 시 주의사항

  • 심박수 상승 여부가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지 관찰
  • 인지 과부하 + 육체 부하 조합 테스트 필요 (예: 패스 정확도 + 달리기)
  • 수면 질, 집중력, 감정기복 모두 체크
  • 두 번째 뇌진탕은 첫 번째보다 회복이 훨씬 오래 걸림

6. 코치와 트레이너의 역할

  • 선수의 언행 및 반응 속도 변화 모니터링
  • 팀 훈련 중 헤더, 경합, 낙상 이후 행동 체크리스트 운영
  • SCAT5, BESS 등 간이 평가법 숙지 및 주기적 적용
  • 의무팀과 연계하여 RTP 단계별 피지컬 프로그램 제공

7. 결론: 뇌진탕은 ‘참는 것’이 아니라 ‘회복해야 할 부상’

"괜찮아요, 뛸 수 있어요"라는 말은 더 이상 허용되지 않습니다. 뇌진탕은 조기 인지와 체계적인 회복 관리 없이는 선수의 커리어는 물론 건강한 인생까지 위협할 수 있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강한 멘탈이 아니라, 정확한 판단과 시스템입니다.
축구는 머리로도 하는 경기입니다. 그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최고의 경기력을 유지하는 첫걸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