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발적인 파워 향상과 부상 예방을 위한 과학적 접근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란? (Plyometric Training)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은 '신장-단축 주기(SSC, Stretch-Shortening Cycle)'를 활용하여
- 근육의 탄성 에너지(elastic energy)
- 근신경계의 stretch reflex
를 극대화하여 '폭발적 파워(Explosive Power)'와 '스프린트 능력(Sprint Performance)'을 향상시키는 훈련법입니다 (Markovic, 2007).
참고 논문:
Markovic, G. (2007). Does plyometric training improve vertical jump height? A meta-analytical review.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1(6), 349–355. https://doi.org/10.1136/bjsm.2007.035113
- 근신경계 활성화(Neuromuscular Activation)와 SSC 메커니즘
SSC (Stretch-Shortening Cycle) 3단계:
- Eccentric Phase (신장): 근육이 늘어나며 탄성 에너지 축적
- Amortization Phase (전환): 매우 짧은 지연 시간
- Concentric Phase (수축): 축적된 에너지 방출, 폭발적 수축
근방추(근육 내 감각기관)와 골지힘줄기관이 관여하며, 이를 통해
- 반사적 근수축 증가 (Stretch Reflex)
- 운동단위 동원률(motor unit recruitment) 향상
- 고속신경전달 (Fast Neural Drive)
이 발생합니다 (Komi & Bosco, 1978).
참고 논문:
Komi, P. V., & Bosco, C. (1978). Utilization of stored elastic energy in leg extensor muscles by men and wome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10(4), 261–265.
-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의 주요 효과
효과 | 설명 |
폭발적 파워 증가 | 스프린트 속도, 점프 높이, 킥 파워 향상 |
근신경계 효율 향상 | 빠른 반응속도, 운동단위 동원율 증가 |
부상 예방 | 엉덩이, 무릎, 발목 주위 안정성 향상 |
SSC 메커니즘 최적화 | 파워 출력을 극대화, 탄성에너지 활용 증대 |
참고 논문:
Slimani, M., et al. (2016). Effects of plyometric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in team sport athlet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Human Kinetics, 53, 231–247. https://doi.org/10.1515/hukin-2016-0026
- 플라이오메트릭 훈련 예시 (레벨별 구성)
초급 (유소년 / 재활 단계)
- Standing Vertical Jump: 3세트 × 8~10회
https://images.app.goo.gl/MMfMX58HQa2r6JJR6
Standing Vertical Jump - YouTube
Google에서 검색된 youtube.com 이미지
www.google.com
- Lateral Line Hop: 양옆 20초 × 3세트
https://www.youtube.com/watch?v=YvZrMC23rJA
- Ankle Hop (발목 플라이오메트릭): 3세트 × 15회
https://www.youtube.com/watch?v=IHZxspDBllE
중급 (성인 선수 / 오프시즌)
- Box Jump (30~50cm): 3~4세트 × 6~8회
https://www.youtube.com/watch?v=NBY9-kTuHEk
- Split Squat Jump: 3세트 × 8회 (양다리 교체)
https://www.youtube.com/watch?v=RtY9kyhuh5I
- Bounding (연속 멀리뛰기): 20~30m × 4세트
https://www.youtube.com/watch?v=3kSA9pm56NI
- Depth Jump (60cm): 착지 후 즉각 점프, 3세트 × 5회
https://www.youtube.com/watch?v=AzPJZHOmGEg
참고 논문: Byrne, C., & Eston, R. (2002). The effect of plyometric training on the neuromuscular control of the knee. Journal of Sports Sciences, 20(10), 859–870.
고급 (엘리트 선수 / 시즌 중)
- Depth Jump to Sprint (Depth Jump → 10m Sprint 연결): 3세트 × 4회
https://www.youtube.com/watch?v=FwhyRo2tYdo
- Single-Leg Hurdle Hops (50cm 허들 5개): 4세트 × 5회
https://www.youtube.com/shorts/VLuiFsqSCMk
- Med Ball Overhead Throw + Broad Jump: 4세트 × 6회
https://www.youtube.com/watch?v=MDv6wHFzThc
- Reactive Drop Jump with Minimal Contact Time (<0.25초): 3세트 × 5회
https://www.youtube.com/watch?v=5sHEpF2gzkM
- 근신경계 활성화를 위한 플라이오메트릭 활용 전략
훈련 시점 | 적용 예시 | 목적 |
워밍업 직후 (Priming) | Ankle Hop, Low Box Jump | 신경계 준비, 반응속도 향상 |
웨이트 후 (Contrast Training) | Squat → Depth Jump | 최대 근력 → 폭발력 연결 강화 |
경기 전 활성화 | Quick Step Ladder + Reaction Jump | 순간 폭발력 및 신경계 각성 |
참고 논문: Ebben, W. P., & Blackard, D. O. (2001). Strength and conditioning practices of National Football League strength and conditioning coache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15(1), 48–58.
- 부상 예방과 플라이오메트릭 적용 시 주의사항
- Landing Mechanics 교육 필수 (무릎 내반 방지, Soft Landing)
- 진행 단계별 볼륨과 강도 조절 (초급 → 고급으로)
- 피로도 높을 경우 세션 종료 (Neural Fatigue 시 리스크 ↑)
- 2~3회/주, 최소 48시간 회복 권장
참고 논문: Myer, G. D., Ford, K. R., & Hewett, T. E. (2006).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rationale for training to prev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female athletes.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14(5), 275–285.
- 참고문헌 (References)
- Markovic, 2007
- Komi & Bosco, 1978
- Slimani et al., 2016
- Byrne & Eston, 2002
- Ebben & Blackard, 2001
- Myer et al., 2006
'스포츠 과학 > 트레이닝 방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 모델 예시1] (3) | 2025.04.24 |
---|---|
[게임 모델 예시2] (0) | 2025.04.24 |
[축구선수 포지션별 맞춤형 트레이닝 프로토콜] (1) | 2025.04.24 |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HIIT)의 최적화 설정] (1) | 2025.04.23 |
[엘리트 축구의 세분화된 훈련 일정:언제 쉬어야 하는가?] (0) | 202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