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고강도 움직임, 스프린트, 총 이동 거리 등 퍼포먼스 지표
경기 중 피지컬 퍼포먼스 주요 지표
항목 | 평균 수치(1경기) | 설명 |
총 이동 거리 | 10~13km | 포지션별 차이: MF > DF > FW > GK |
고강도 러닝(>19.8km/h) | 800~1300m | 윙어·풀백 > 센터백·중앙MF |
스프린트(>25km/h) | 20~60회 | 포지션과 팀 스타일에 따라 다름 |
최고 속도 | 28~36km/h | 윙어, 풀백, 스트라이커가 가장 높음 |
점프 횟수 | 40~80회 | 세트피스, 공중볼 경합 포함 |
가속/감속 (±3m/s²) | 300~800회 | 짧은 순간 폭발적인 움직임 측정 |
RPE(자각적 운동강도) | 7~9점 (10점 척도) | 경기가 어려울수록 상승 |
참고 논문: Di Salvo et al. (2010), UEFA Elite Club Match Analysis Report, FIFA Big Data Project
- 포지션별 피지컬 퍼포먼스 특성
포지션 | 총 이동거리(km) | 고강도 러닝 거리(m) | 스프린트 횟수 | 최고속도(km/h) |
윙어 (W) | 11~12.5 | 1000~1300 | 40~60 | 30~36 |
풀백 (FB) | 11~13 | 900~1200 | 30~50 | 30~34 |
중앙MF (CM) | 11.5~13 | 700~1100 | 20~40 | 28~32 |
센터백 (CB) | 9~11 | 500~800 | 10~30 | 28~32 |
스트라이커 (ST) | 10~12 | 800~1200 | 30~50 | 30~35 |
골키퍼 (GK) | 4~6 | - | - | - |
팀 전술(하이프레스, 로우블록), 상대 전력, 볼 점유율에 따라 큰 차이 발생.
- 팀 스타일별 피지컬 프로파일
팀 스타일 | 특징 | 피지컬 데이터 경향 |
하이프레스, 포지션 플레이 (예: 맨시티, 리버풀) | 높은 볼 점유율, 빠른 전환, 전방 압박 | 고강도 거리 ↑, 스프린트 ↑, 가속/감속 ↑ |
로우블록, 카운터어택 (예: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수비 블록 유지, 순간 역습 | 총 거리 ↓, 스프린트 고속 영역 ↑ |
중간 압박, 균형형 (예: 레알 마드리드) | 상황에 따른 압박과 후퇴 조절 | 지표가 상대적 균형, 하이프레스보다 고강도↓ |
- 엘리트 선수 피지컬 분석 예시
윙어 (Wing, 하이프레스 팀)
- 총 거리: 12.2km
- 고강도 러닝: 1,250m
- 스프린트: 55회
- 최고 속도: 34.8km/h
- 가속/감속: 780회
- 평균 심박수: 170~185 bpm
센터백 (CB, 로우블록 팀)
- 총 거리: 10.1km
- 고강도 러닝: 600m
- 스프린트: 15회
- 최고 속도: 30.1km/h
- 가속/감속: 420회
- 평균 심박수: 150~165 bpm
- 데이터 수집 방법
방법 | 설명 |
GPS 트래킹 | 10Hz 이상 고주파 GPS + 가속도계 (예: Catapult, STATSports) |
비디오 트래킹 (LPS) | 스태디움 내부 설치형 (예: TRACAB by ChyronHego) |
심박수 벨트 | Polar, Garmin HRM, WHOOP 등 |
웨어러블 IMU | GPS 외 센서 통합, HRV/호흡/가속도 포함 (Oura, WHOOP) |
- 피지컬 데이터 분석을 통한 활용
활용 분야 | 목적 |
훈련 계획 수립 | 포지션별 목표 거리, 스프린트 빈도 설정 |
부하 관리 (Load Monitoring) | 부상 예방, 회복 주기 계획 |
경기 중 퍼포먼스 분석 | 스프린트 횟수, 회복 속도, 피로 누적 확인 |
개인별 리포트 및 피드백 | 맞춤형 컨디셔닝, 선수별 약점 보완 |
- 결론: 피지컬 데이터는 전술적 준비의 핵심 도구
오늘날 축구는 기술과 전술뿐 아니라 데이터 기반 피지컬 관리가 경기력 유지와 부상 예방의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하이프레스 전술을 사용하는 팀일수록 가속·감속 패턴과 고강도 움직임 모니터링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 과도한 부하 누적 방지
- 적절한 회복 시간 확보
- 포지션별 특화 훈련 설계
가 가능합니다.
- 참고문헌 (References)
- Di Salvo, V., Gregson, W., Atkinson, G., Tordoff, P., & Drust, B. (2009). Analysis of high intensity activity in Premier League soccer.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30(03), 205-212.
- Bangsbo, J., Mohr, M., & Krustrup, P. (2006). Physical and metabolic demands of training and match-play in the elite football player. Journal of Sports Sciences, 24(7), 665-674.
- UEFA (2022). Elite Club Match Analysis Report. UEFA Technical Study Group.
- FIFA (2022). FIFA World Cup Big Data Analysis Project.
반응형
'스포츠 과학 > 축구 GPS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지션별 GPS 데이터 기준과 특징] (0) | 2025.05.02 |
---|---|
ACWR (Acute:Chronic Workload Ratio)의 기초 개념 (0) | 2025.04.25 |
[리버풀FC 포지션별 실제 1경기 피지컬 데이터 예시] (2) | 2025.04.22 |
[훈련 부하와 부상 예방: ACWR을 사용한 효과적인 훈련 전략 2] (0) | 2025.02.20 |
[훈련 부하와 부상 예방: ACWR을 사용한 효과적인 훈련 전략 1] (2)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