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20 - [스포츠 과학/일반] - [엘리트 축구선수 인바디 결과지 해석 실제 예시1]
[엘리트 축구선수 인바디 결과지 해석 실제 예시1]
2025.04.20 - [스포츠 과학/일반] - [엘리트 축구선수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 [엘리트 축구선수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 축구선수용 InBody 결과지 해석 가이드InBody는 BIA 방식으로 체성분(체중,
junhyukv.tistory.com
2025.04.20 - [스포츠 과학/일반] - [엘리트 축구선수 인바디 결과지 해석 실제 예시2]
[엘리트 축구선수 인바디 결과지 해석 실제 예시2]
2025.04.20 - [스포츠 과학/일반] - [엘리트 축구선수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 [엘리트 축구선수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 축구선수용 InBody 결과지 해석 가이드InBody는 BIA 방식으로 체성분(체중,
junhyukv.tistory.com
엘리트 축구선수 인바디 결과지 해석 가이드를 바탕으로 실제 선수의 인바디 결과를 해석한 예시들이다.
인바디 결과지 해석을 원하시는 분들은 따로 댓글이나 쪽지 주시면 도와드립니다.
- 축구선수용 InBody 결과지 해석 가이드
InBody는 BIA 방식으로 체성분(체중, 체지방, 근육량, 수분 등)을 분석해 주는 장비이며, 선수 퍼포먼스 관리에 널리 사용된다.
- 핵심 항목별 해석 기준
항목 | 의미 | 엘리트 선수 기준 | 피드백 포인트 |
체중(Weight) | 전체 몸무게 | 포지션별 적정 범위 유지 | 근육량 대비 적절한가? |
골격근량(SMM) | 움직임 가능한 근육량 | 체중의 52~56% | 50% 미만이면 파워 ↓ |
체지방량(Fat Mass) | 지방량 | 8~11% (FW), 11~13% (DF) | 13%↑면 감량 필요 |
체지방률(%BF) | 체중 대비 지방 비율 | 포지션별 이상적 구간 유지 | 민첩성·스피드에 영향 |
BMI | 키 대비 몸무게 지표 | 22.0~23.5 | 근육량 많으면 높아도 OK |
기초대사량(BMR) | 최소 생존 시 소비 열량 | 1700~2100kcal/일 | 체중·근육 증가로 함께 증가 |
체수분량(TBW) | 체내 수분 비율 | 체중의 60~62% | 탈수·과훈련 지표 가능 |
체형지수(WHR) | 허리-엉덩이 비율 | < 0.9 (남성 기준) | 비복부형 비만 여부 |
- 종합 평가: SMM과 % BF 조합
골격근량/체지방률 | <10% BF | 10~13% BF | 13~15% BF |
SMM 55%↑ | 이상적 (FW, WG) | 💪 탄탄 | 근육 과다 가능 |
SMM 50~54% | 아주 우수 | 적절 | 지구력형 |
SMM 48~49% | 부족 (보완 필요) | 보통 수준 | 컨디션 관리 필요 |
SMM 47%↓ | 근력 부족, 부상 위험 | ⚠️ 근비대 권장 | 📉 퍼포먼스 저하 우려 |
- 부위별 근육량 비교
InBody는 팔/다리/몸통 근육 발달을 따로 표시한다. → 선수용 기준에서 중요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부위 | 분석 포인트 |
양팔 근육량 | 좌우 불균형이 0.5kg 이상 → 부상 위험, 킥 or 드리블 편향 가능성 |
양다리 근육량 | 킥 다리에 비해 0.8kg 이상 차이 → 패턴 불균형, 근피로 누적 주의 |
몸통 근육량 | 낮을 경우 코어 불안정 → 균형, 방향 전환, 점프력 약화 |
팁:
- 왼다리 - 오른다리 차이 0.5kg 이내 유지
- '코어(Segmental Trunk Mass)'가 전체 SMM의 30% 이상이면 안정적
- 선수용 피드백 요약표
상태 | 평가 | 피드백 |
SMM↑ / %BF↓ | 최상 | 유지 + 유연성 보완 |
SMM↓ / %BF↓ | 경량형 | 근육량 증진 우선 |
SMM↑ / %BF↑ | 벌크형 | 체지방 감량 병행 |
SMM↓ / %BF↑ | 최악 | 전면 개입 필요 (식단 + 훈련) |
- 실전 대응 전략
항목 | 전략 |
골격근량 50%↓ | 파워 트레이닝 + 단백질 섭취 강화 |
체지방률 13%↑ | 유산소 + 식단 조절 (GI지수 낮은 식품) |
하체 좌우 불균형 | 편측성 운동 보완 (싱글 레그 스쿼트 등) |
코어 부족 | 플랭크, 데드버그, 리버스 크런치 등 |
- 결론
InBody 결과는 단순 숫자가 아니라 경기력, 부상 위험, 훈련 방향성의 나침반이다.
- 근육량은 많을수록 좋은 것이 아니라, 포지션과 기능에 맞게 조절해야 한다.
- '정기적인 측정(4~6주 주기)'을 통해 몸 상태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피드백 해야한다.
반응형
'스포츠 과학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리트 축구선수 인바디 결과지 해석 실제 예시2] (0) | 2025.04.21 |
---|---|
[엘리트 축구선수 인바디 결과지 해석 실제 예시1] (2) | 2025.04.21 |
[축구선수 체지방률 기준표 (Body Fat % Reference Table for Elite Footballers)] (2) | 2025.04.20 |
[축구선수의 표준 신체 조성(키, 몸무게, 근육량 등)] (5) | 2025.04.19 |
[엘리트 축구 선수의 과학적 회복을 위한 대조욕(냉욕+온욕)] (2)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