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과학/일반

[다양한 포지션의 엘리트 축구 선수들의 신체 조성과 VO2 max (최대 산소 섭취량) 비교]

by Football Science Lab 2022. 9. 11.
반응형

[다양한 포지션의 엘리트 축구 선수들의 신체 조성과 VO2 max(최대 산소 섭취량) 비교]

[THE COMPARISON OF SOME ANTHROPOMETRIC, BODY COMPOSITION INDEXES AND VO2 MAX OF AHWAZ ELITE SOCCER PLAYERS OF DIFFERENT PLAYING POSITIONS, Pedagogics, psychology, medi-biological problems of physical training and sport] 

 

 축구 선수들은 일반적으로 9~12퍼센트의 체지방률을 갖는다. 장시간 운동 수행을 위해 몸의 체지방률 유지가 필수적이다. 지방이 너무 많으면 몸이 무거워져서 운동 수행 능력이 낮아지고, 탄수화물이 에너지로 사용되다 고갈되는 시점에서 운동 능력 유지를 위해서는 몸속의 충분한 지방이 필요하다. 또한, 90분 이상의 장시간 운동 수행을 위해서 축구 선수들에게 심폐 지구력은 필수적인 능력 중 하나이다. 

다양한 포지션에 따라 수행하는 동작과 전술적 움직임에 따라 선수가 움직이는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신체 조성과 최대 산소 섭취량을 가진다. 이 논문을 기반으로 이러한 포지션 별 차이에 대해 적어볼까 한다. 

 

 

먼저 이 논문에서 포지션 별 선수 분류를 골키퍼, 미드필더, 공격수, 수비수로 나눴다.

 

골키퍼 포지션의 선수들은 키가 가장 크고 몸무게가 가장 많이 나간다. 평균 187cm, 85kg로 다른 포지션과 매우 큰 차이를 지닌다. 골키퍼의 주요 임무는 빠르게 반응하고, 점프/다이빙을 통해 슈팅을 막는 것이기 때문에, 큰 키를 가질수록 유리하다. 또한 체지방률도 평균 12퍼센트로 포지션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갖고 있다. 필드 플레이어들과 다르게 경기 중 유산소 운동을 많이 하지 않기 때문에 최대 산소 섭취량도 제일 낮은 수치를 나타낸다. 대신에 순간적인 파워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드필더 선수들은 평균 175cm, 72.35kg의 신체 조성을 갖고 있는데, 이는 포지션 중 가장 작고, 가벼운 수치이다. 체지방률도 가장 적은 10.71%을 유지한다. 90분 경기를 뛰면 평균적으로 선수들은 10-11km를 달리는데 포지션 별로 살펴 보면 미드필더 선수들이 골키퍼, 공격수, 수비수들보다 더 많은 거리를 뛰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미드필더 선수들은 다른 포지션들보다 더 높은 최대 산소섭취량을 갖고 있다. 60.69(ml.kgˉ¹minˉ¹)로 포지션 중에서 가장 높은 최대 산소 섭취량을 가진다. 

 

공격수 선수들은 평균 179cm, 73.76kg의 신체 조성을 지닌다. 체지방률도 미드필더와 비슷하게 10.84%를 가지고, 최대 산소 섭취량도 59.71(ml.kgˉ¹minˉ¹)로 나타난다. 공격수 포지션 역시 많은 활동량과 빠른 움직임을 요구하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신체 조성, 최대 산소 섭취량 등 미드필더 포지션과 가장 유사한 데이터를 가진다.

 

수비수 선수들은 평균 181cm, 75.78kg의 신체 조성을 갖고 있다. 미드필더 선수들과 비교했을때 월등히 신체 조건이 크기 때문에 공중볼, 태클 등 커버 범위에서 장점을 가진다. 체지방률은 미드필더, 공격수보다는 약간 높은 11.17%이고, 최대 산소 섭취량은 이들보다 약간 낮은 57.89(ml.kgˉ¹minˉ¹)이다. 상대적으로 다른 포지션보다 활동량이 적고, 공중볼, 세트피스 수비 등 피지컬 적인 요소가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런 특성이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에서 얻은 결과는 축구 선수들의 포지션에 따라 신체 조성(몸무게, 키)의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개인적인 차이를 올바른 선수 기용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것이다. 

 

 

References 

 

1. Reilly T, Duran D. Fitness assessment. In: Reilly T, Williams AM, editors. Science and soccer. 2nd ed. London: Routledge;. 2003.

 

2. Guerra I, Soares E, Burinini R. Aspectos nutricionais do futebol de competição. Rev Bras Med Esporte. 2001;7:200206.

 

3. Reilly T, Bangsbo J, Franks A. Anthropometric and physiological predispositions for elite soccer. J Sports Sci. 2000;18: 669-683.

 

4. Salvo VD, Pigozzi F (1998). Physical training of football players based on their positional rules in the team. J Sports Med Phys Fitness. 38: 294-7.

 

5. Shephard R. Biology and medicine of soccer: an update. J Sports Sci. 199917:757-786.

 

6. Bangsbo J, Norregard L, Thorso F. Activity profile of competition soccer. Can. J. Sport Sci. 1991;16:110116.

 

7. Bangsbo J, Michalsic L. Assessment of the physiological capacity of elite soccer players. In: Science and Football IV. W. Spinks, T. Reilly, and A. Murphy (Eds.) London: Routledge; 2002.

 

8. Ekblom B. Applied physiology of soccer. Sports Med. 1986;3:50–60.

 

9. Reilly T. Motion characteristics. In: Football (Soccer), B. Ekblom (Ed.). London, Blackwell; 1994.

 

10. Tumilty 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ite soccer players. Sports Med. 1993;16:80–9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