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과학/트레이닝 방법론

[엘리트 축구선수 나이대별 민첩성 측정 기준]

by Football Science Lab 2025. 5. 6.
반응형

1. 민첩성 테스트의 대표 유형

테스트 설명 피지컬적 요구 사항
5-10-5 Shuttle Run 중심 축 기준 좌/우 5m, 총 20m 스프린트 방향 전환 COD, 반응 속도, 감속/가속
T-Test 전진 → 좌우 사이드스텝 → 후진 동작 포함 총 36.5m 방향 전환 훈련 전방위 움직임 조절 능력, 하체 파워
Illinois Agility 콘 사이 짧은 곡선 경로 및 직선 전력질주 혼합 전신 조절 능력, 에너지 시스템, 방향 전환 반응

2025.05.06 - [스포츠 과학/훈련 디렉토리] - [민첩성][T-Test: 전방위 방향 전환과 민첩성 평가를 위한 표준]

 

[민첩성][T-Test: 전방위 방향 전환과 민첩성 평가를 위한 표준]

1. 개요T-test는 선수의 전진, 사이드스텝, 후진 능력을 포함하여 다방향 민첩성(omnidirectional agility)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폐쇄형 테스트입니다. 테스트 이름은 코스 구성이 ‘T’ 자 형태로 되어

footballsciencelab.kr

2025.05.06 - [스포츠 과학/훈련 디렉토리] - [민첩성][Illinois Agility Test: 전신 이동 민첩성과 순발력 평가]

 

[민첩성][Illinois Agility Test: 전신 이동 민첩성과 순발력 평가]

1. 개요Illinois Agility Test는 직선 가속, 코너링, 곡선 속도 조절, 중심 이동 제어까지 평가할 수 있는 복합형 민첩성 테스트입니다.기초체력 평가뿐만 아니라, 유소년부터 성인 엘리트 선수까지 모

footballsciencelab.kr

2025.05.06 - [스포츠 과학/훈련 디렉토리] - [민첩성][5-10-5 Shuttle Run: 방향전환 테스트의 표준]

 

[민첩성][5-10-5 Shuttle Run: 방향전환 테스트의 표준]

1. 개요5-10-5 Shuttle Run은 운동선수의 방향전환 민첩성(Change of Direction Agility)을 측정하는 표준 테스트입니다.총 20미터 거리를 사용하며, 짧은 거리에서의 가속-감속-방향 전환 능력을 확인하는 데

footballsciencelab.kr

 


2. 나이대별 민첩성 기준 (엘리트 축구선수 기준)

단위:

자료 기반: UEFA/FIFA Talent Identification Reports, elite academy testing data, Sheppard & Young (2006), Buchheit et al. (2010)

 

U13–U15 (초등 고학년~중학생)

테스트  평균 기록 상위 10% 기준
5-10-5 Shuttle Run 5.1–5.4초 ≤ 4.9초
T-Test 10.2–11.0초 ≤ 9.8초
Illinois Agility 17.0–18.5초 ≤ 16.5초

포인트: 민첩성 형성기. 기술-인지-밸런스를 조합한 훈련 필요.
고관절 안정성, 발목 조절능력, 시각 자극 반응 속도 등 포함.


U16–U18 (고등학교)

테스트 평균 기록 상위 10% 기준
5-10-5 Shuttle Run 4.7–5.1초 ≤ 4.6초
T-Test 9.5–10.5초 ≤ 9.2초
Illinois Agility 16.0–17.2초 ≤ 15.5초

포인트: 민첩성과 파워의 연결기. 플라이오메트릭 + 방향전환 혼합 훈련 중심.
부하 조절(RPE), 성장판 관리 필요.


U19–성인 프로 레벨

테스트 평균 기록 상위 10% 기준
5-10-5 Shuttle Run 4.4–4.8초 ≤ 4.3초
T-Test 9.0–10.0초 ≤ 8.8초
Illinois Agility 15.2–16.5초 ≤ 14.8초

포인트: 게임 상황 중심 훈련으로 전이 필요.
반응성(reactive agility), 포지션 특화 민첩성 점검 포함.


3. 포지션별 민첩성 기준 차이 (프로/청소년 공통)

포지션 요구 민첩성 특성 목표 수치 (5-10-5 셔틀런 기준)
CB 측면 압박 후 감속, 후방 커버 반응 속도 4.7초 이하
FB 측면 1:1 → 전환, 방향 전환과 반응 속도 4.5초 이하
DMF 중원에서 360도 전환, 짧은 움직임 반복 4.6초 이하
WG/FW 돌파-컷백 전환 + 탈압박 상황 대응 4.4초 이하

4. 참고 문헌 및 데이터 출처

  1. Sheppard, J. M., & Young, W. B. (2006). Agility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Sports Sciences, 24(9), 919–932.
  2. Buchheit, M. et al. (2010). Agility and change-of-direction speed in soccer play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ology and Performance, 5(4), 547–552.
  3. UEFA Training Ground & Elite Youth Performance Data
  4. FIFA Talent Development Scheme (20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