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대퇴사두근이란?
대퇴사두근은 허벅지 앞쪽에 위치한 4개의 근육(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프린트, 점프, 킥 동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대퇴직근(Rectus Femoris)은 고관절 굴곡과 무릎 신전을 동시에 담당하므로, 축구 선수의 킥킹 동작에서 가장 자주 손상되는 근육입니다.
2. 대퇴사두근 부상의 주요 원인
원인 | 설명 |
과도한 킥 반복 | 킥 동작 시 근육이 과신장 상태에서 수축 |
준비운동 부족 | 근육 온도와 유연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고강도 활동 |
부하 급증 | 짧은 시간 내에 훈련량, 경기 수가 급증한 경우 |
고관절 비대칭 | 골반 불균형 → 대퇴직근에 반복적 과부하 발생 |
3. 증상 및 진단
경미한 손상 (1도) | 근육 내 미세 파열, 압통과 경미한 통증, 걷기 가능 |
중등도 손상 (2도) | 부분 파열, 통증 증가, 무릎 굽힘 제한 |
중증 손상 (3도) | 완전 파열, 출혈과 부종 동반, 보행 불가 |
초기에는 MRI 또는 초음파를 통해 손상 범위 평가 필요
4. 회복 및 재활 단계
초기 단계 (1~7일)
- RICE 요법 (Rest, Ice, Compression, Elevation)
- 압박 붕대 & 목발 사용
- 통증 없는 범위 내에서 관절 가동 운동 시작
중간 단계 (8~21일)
- 정적 스트레칭 (대퇴직근, TFL, 장요근)
- 등척성 운동 시작 (Quad Set)
- 근력 점진적 증가
후기 단계 (3~6주)
- 저항 밴드 운동 (Knee Extension, SLR)
- 콘센트릭-이센트릭 레그 익스텐션
- 전신 연동 회복: 힙 써스트, 스텝업, 런지
경기 복귀 단계 (6주 이상)
- 스프린트 재개, 점프 반복, 킥 동작 훈련
- GPS 및 RPE로 부하 관리
- 비대칭 근력 검토 후 Return to Play 결정
재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R6EFevkcPr4
5. 과학적 근거
Mendiguchia et al., 2013 (Br J Sports Med) | 대퇴사두근 손상 후에도 엉덩이 근육 활성 감소가 회복을 방해할 수 있음 |
Orchard et al., 2001 (Clin J Sport Med) | 대퇴직근 손상은 킥 빈도와 연관되며, 급성 반복 킥 트레이닝은 주의 필요 |
Wangensteen et al., 2020 (J Orthop Sports Phys Ther) | 이센트릭 트레이닝이 회복과 재손상 방지에 효과적임 |
6. 재발 방지 전략
킥 수 제한 및 훈련 분산
고관절 가동성 향상 (힙 플렉서, 햄스트링 밸런스)
햄스트링 : 쿼드 근력 비율 모니터링 (H/Q ratio)
ACWR 관리 (Acute:Chronic Workload Ratio)
GPS로 누적 피로도 추적 및 회복 세션 병행
- 결론
대퇴사두근 부상은 축구 선수에게 있어 킥 능력과 스프린트 능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제대로 회복되지 않으면 반복적인 재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회복에는 조기 진단 + 과학적인 단계별 재활 + 부하 관리가 핵심입니다.
반응형
'스포츠 과학 > 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 축구선수는 왜 ACL 부상에 취약한가?] (3) | 2025.05.16 |
---|---|
[전방십자인대(ACL) 부상: 원인, 회복, 재활 가이드] (4) | 2025.05.14 |
[축구선수의 주요 부상 부위 TOP 10] (1) | 2025.05.09 |
[발등 골절(Dorsal Foot Fracture): 회복 전략과 재활 운동 가이드] (0) | 2025.05.08 |
[뇌진탕 단계별 재활]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