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과학/심리학

[압박 상황에서의 집중력 유지 전략]

by Football Science Lab 2025. 5. 8.
반응형

경기 중 압박 상황에서 집중력을 유지하는 것은 선수의 성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스포츠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시각적 주의 집중과 불안 조절이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


1. 조용한 시선(Quiet Eye) 훈련

조용한 시선(Quiet Eye)은 결정적인 동작 전에 목표 지점을 일정 시간 응시하는 시각적 주의 전략입니다. 이 기술은 압박 상황에서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 연구 근거: Vine et al. (2014)의 연구에 따르면, 조용한 시선 훈련은 압박 상황에서의 시각적 주의 통제를 향상시키고, 수행 능력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 훈련 예시: 선수에게 결정적인 동작 전에 목표 지점을 최소 10m 이상 응시하도록 지도합니다. 예를 들어, 농구 자유투 시 림을 응시하는 시간을 늘리는 훈련을 실시합니다.​

2. 주의 통제 이론(Attentional Control Theory)

불안은 주의 통제 능력을 저하시켜 집중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주의 통제 이론은 불안이 주의 자원을 감소시켜 수행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메커니즘을 설명합니다.​

  • 연구 근거: Eysenck et al. (2007)의 연구에 따르면, 불안은 주의 통제 시스템의 균형을 깨뜨려 수행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 훈련 예시: 선수에게 불안 유발 상황에서 주의 전환 훈련을 실시하여, 주의 통제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예를 들어, 시끄러운 환경에서의 훈련을 통해 주의를 유지하는 연습을 합니다.​

3. 긍정적 자기 대화(Self-Talk) 전략

긍정적인 자기 대화는 불안과 부정적인 생각을 줄이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연구 근거: Hatzigeorgiadis et al. (2009)의 연구에 따르면, 자기 대화는 기술 수행과 지구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훈련 예시: 선수에게 긍정적인 문구를 반복하도록 지도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준비되어 있다", "나는 집중할 수 있다" 등의 문구를 사용합니다.​

4. 심상 훈련(Visualization)

심상 훈련은 실제 수행 전에 동작을 시각화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 연구 근거: Cumming & Ramsey (2009)의 연구에 따르면, 심상 훈련은 자기 효능감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훈련 예시: 선수에게 경기 전 중요한 동작을 시각화하도록 지도합니다. 예를 들어, 축구 선수가 페널티킥을 차는 장면을 머릿속으로 그려보는 연습을 합니다.​

- 실전 훈련 프로그램 예시

훈련 이름 목표 방법
조용한 시선 훈련 시각적 주의 집중 향상 결정적인 동작 전에 목표 지점 응시 시간 늘리기
주의 전환 훈련 불안 상황에서의 주의 통제 능력 향상 시끄러운 환경에서의 훈련 실시
긍정적 자기 대화 연습 불안 감소 및 집중력 향상 긍정적인 문구 반복 연습
심상 훈련 자기 효능감 및 집중력 향상 경기 전 중요한 동작 시각화 연습

- 실전 훈련 프로그램 구성 예시

요일 전략 훈련 내용 예시
월요일 Quiet Eye 슈팅 전 2초 응시, 소음 환경에서 반복
화요일 자기 대화 설정 자기 대화 문구 3개 설정 후 경기 중 사용
수요일 마인드풀니스 호흡 집중 훈련 + 주의 전환 일지 작성
목요일 심상 훈련 페널티킥 성공 장면 시각화 (1인칭 시점)
금요일 혼합 적용 훈련 전술 훈련 + 소음, 시간제한 압박 부여

- 참고문헌

  1. Vine, S. J., et al. (2014). Quiet eye training improves targeting skills and reduces performance breakdown under pressure. Europ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 Hatzigeorgiadis, A., et al. (2009). Self-talk and sports performance.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3. Gardner, F. L., & Moore, Z. E. (2004). Mindfulness-Acceptance-Commitment in sport. Journal of Clinical Sport Psychology
  4. Cumming, J., & Ramsey, R. (2009). Imagery interventions in sport. Advances in Applied Sport Psychology
  5. Eysenck, M. W., et al. (2007). Anxiety and cognitive performance: Attentional Control Theory. Emotio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