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과학/심리학

[원팀 만들기: 팀워크와 응집력 향상 접근법]

by Football Science Lab 2025. 4. 27.
반응형

 

스포츠에서 팀의 성공은 개인의 기술이나 체력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팀원 간의 '협력(cooperation)'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응집력(cohesion)'이야말로 최고의 성과를 이끌어내는 핵심 요인입니다. 많은 현장의 지도자분들 역시 팀의 응집력 향상을 위해 고민하지만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 글에서는 스포츠 심리학 연구를 바탕으로 '원팀(One Team)'을 만드는 전략과 실질적인 훈련 방법을 소개합니다.


- 팀 응집력의 이해: 과업 응집력과 사회적 응집력

'팀 응집력(team cohesion)'이란 팀원들이 목표 달성을 위해 함께 노력하며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말합니다. 이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과업 응집력(Task Cohesion):
    팀원들이 공동 목표를 향해 헌신하고 협력하는 정도.
    → 경기 성과와 직결.

 

  • 사회적 응집력(Social Cohesion):
    팀원들 간의 인간관계, 유대감, 친밀감.
    → 팀원 만족도, 장기적 팀 유지에 영향.

Carron & Brawley (2000)는 과업 응집력이 경기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Small Group Research, 31(1), 89-106).


- 원팀 구축을 위한 핵심 전략

1. 공동 목표 설정 (Goal Setting)

  • 목표 설정의 효과:
    명확하고 도전적인 목표는 과업 응집력을 강화하고 팀원들의 방향성을 일치시킵니다 (Kwon, 2024).
  • 훈련 예시:
    시즌 시작 전 팀 전체가 참여하는 목표 설정 워크숍을 진행.
    ▶ 예시: 축구팀 → "다음 10경기 클린 시트 7회 달성", 각 선수별 역할과 기여도를 구체화.

2. 역할 명확화 (Role Clarification)

  • 역할 명확화의 효과:
    역할 불확실성은 갈등을 유발하며, 응집력을 저해합니다. 역할을 명확히 하면 갈등 감소, 협력 증진 (Eys & Carron, 2001).
  • 훈련 예시:
    포지션별 역할 설명회 + 역할 교환 활동(다른 포지션 체험).
    ▶ 농구팀 → 플레이메이커, 수비 리더, 에너지 리더 역할 구체화.

3. 팀 빌딩 활동 (Team Building)

  • 팀 빌딩의 효과:
    사회적 응집력 향상, 팀 내 신뢰 및 상호 이해 강화 (Yukelson, 2014).
  • 훈련 예시:
    • 협력형 미션 게임 (예: 제한시간 내 문제 해결)
    • 신뢰 강화 훈련 (예: 눈 가리고 장애물 코스 완주, 파트너 리드)
    • 오프 필드 활동 (예: 등산, 캠프)

4. 공유된 마인드셋 구축 (Shared Mental Models)

  • 공유된 마인드셋의 효과:
    전술적 상황에서 모든 선수들이 동일한 전략과 반응을 공유.
    ▶ 경기 중 예측 가능한 행동, 빠른 의사소통 가능.
  • 훈련 예시:
    • 영상 분석을 통한 전술 회의
    • 다양한 경기 상황에서의 시뮬레이션 및 롤플레이
    • "만약 이런 상황이 오면 어떻게 대응할까?" 토론

5.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훈련 (Communication Training)

  •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정보 전달력 향상, 오해 감소, 위기 상황에서 신속한 조율 가능.
  • 훈련 예시:
    • 청각 의존 훈련 (예: 눈 감고 소리만으로 플레이)
    • 비언어적 신호(손짓, 시선) 연습
    • 긍정적 피드백과 건설적 비판을 주고받는 연습

- 실전 훈련 프로그램 예시

훈련 이름 목표 방법
팀 목표 설정 워크숍 과업 응집력 강화 시즌 목표 설정, 역할별 책임 공유
역할 교환 활동 역할 이해 및 존중 증진 포지션 스위칭, 역할 체험
신뢰 구축 장애물 코스 사회적 응집력 향상 파트너 신뢰 활동, 눈가리고 장애물 넘기기
위기 상황 롤플레이 공유된 마인드셋 강화 압박 상황 시나리오 → 대응 전략 토론
커뮤니케이션 강화 세션 의사소통 능력 향상 비언어·언어 훈련, 청각 중심 협력 게임

- 참고문헌

  1. Kwon, S. H. (2024). Analyzing the impact of team-building interventions on team cohesion in sports teams: a meta-analysis study. Frontiers in Psychology.
  2. Carron, A. V., & Brawley, L. R. (2000). Cohesion: Conceptual and measurement issues. Small Group Research, 31(1), 89–106.
  3. Eys, M. A., & Carron, A. V. (2001). Role ambiguity, task cohesion, and task self-efficacy. Small Group Research, 32(3), 356–373.
  4. Yukelson, D. (2014). Principles of effective team building interventions in sport. Penn State Universit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