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과학/트레이닝 방법론

[엘리트 축구의 세분화된 훈련 일정:언제 쉬어야 하는가?]

Football Science Lab 2023. 2. 20. 15:33
반응형

[엘리트 축구의 세분화된 훈련 일정: 언제 쉬어야 하는가?]

[Planning the microcycle in elite football: to rest or not to rest?] 

엘리트 축구에서 세분화된 1~2주 단위의 단주기를 계획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복잡하다. 하지만, 스포츠 사이언티스트들 모두 운동과 적절한 회복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은 동의한다. 자세하게 선수들에게 하루 또는 이틀의 휴식을 주는 것과 부상률의 관계를 살펴보고, 경기 후 며칠 후에 휴식을 취할 것인가와 같은 관련 데이터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 논문을 기반으로 엘리트 팀들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휴일 프로그래밍과 부상률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2018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잉글랜드 EPL, 이탈리아 세리에 A, 독일 분데스리가, 스코틀랜드 프리미어십, 미국 MLS, 네덜란드 에레디비지에에 속한 18개 팀에서 데이터를 추출했다. 

 

 

이번 논문에서 가장 짧은 주기를 3일, 가장 긴 주기를 8일로 설정하여 데이터를 수집했다. 예를 들어 일요일에 경기를 한 후 다음 주 수요일에 다시 경기를 하는 것은 3일 주기라고 한다. 토요일에 경기를 한 후 다음 주 일요일에 경기를 하는 것을 8일 주기라고 한다. 총 1871개의 주기 데이터를 수집하고, 각각의 길이에 따라 분류한 후 분석했다. 최소 3일 이상의 이탈을 부상으로 분류했다. 시즌 중 주전 선수들이 511명이 559회의 비접촉 부상을 포함한 965회의 부상을 당했다.

 

전체 부상률은 훈련보다 경기 중 5배 이상 높았으며, 5일 주기를 제외한 다른 일수의 주기의 길이 간 경기 부상 발생률 차이는 없었다. 훈련 중 부상은 3일, 4일 주기가 다른 주기보다는 약간 낮았지만, 실제 부상 일수와 관련하여 계산하면 차이가 거의 없다고 나타났다. 

 

 

3일 주기의 경기 사이클에서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는 데이터는 휴식 없이 모든 날을 훈련하는 것이다. 경기와 경기 사이의 주기가 짧을수록 쉬는 날을 갖는 빈도가 줄어든다. 

3일 주기

 

 

4일 주기의 경기 사이클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데이터는 1) 휴식/운동 3일 과 2) 휴식 없이 4일 운동이다. 훈련 중 발생하는 부상률은 D+2에 휴식일을 갖는 일정이 제일 적었고, 경기 중 발생하는 부상률은 휴식 없이 4일 운동하는 일정이 제일 적게 나타났다. 

4일 주기

 

 

5일 주기의 경기 사이클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데이터는 1) 휴식/운동 4일 과 2) 휴식 없이 5일 운동이다. 경기와 훈련 중 발생하는 부상률 모두 휴식 없이 5일 운동하는 일정이 제일 적게 나타났다.

5일 주기

 

 

6일 주기의 경기 사이클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데이터는 1) 휴식/운동 5일 과 2) 휴식 없이 6일 운동이다. 훈련 중 발생하는 부상률은 D+2에 휴식을 갖는 일정이 가장 낮았고, 경기 중 발생하는 부상률은 휴식 없이 6일 운동하는 일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6일 주기

 

 

7일 주기의 경기 사이클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데이터는 경기 다음날 휴식 후 6일 운동하는 일정이다. 경기와 훈련 중 발생하는 부상률 모두 D+2에 휴식을 갖는 일정이 가장 낮았다. 

7일 주기

 

 

8일 주기의 경기 사이클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데이터는 1일, 2일, 3일 휴식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경기와 훈련 중 모두 가장 낮은 부상률을 나타내는 일정은 D+1,2에 연속해서 휴식을 갖는 계획이다. 

8일 주기

 

 

자세하게 비접촉성 부상 발생 횟수를 따져봤을 때,

3일 주기의 일정을 보면 하루의 휴식이 주어진 계획에서는 비접촉 훈련 부상이 전혀 없었다. D+1에서 하루 휴식을 갖는 일정의 부상률은 휴식 없이 매일 훈련을 하는 일정의 부상률 보다 50%가 낮았다. 또한, D+2에서 하루 휴식을 갖는 일정은 부상 발생률이 전혀 없었다. 

 

결론적으로 경기 다다음날에 휴식을 갖는 것은 특히 3일 주기, 7일 주기 경기 일정 중에 비접촉 부상 발생률을 크게 낮춘다. 실제로 D+2에서 휴식을 갖는 일정이 휴식 없는 일정이나, D+1에서 휴식을 갖는 일정 보다 비접촉성 부상률이 2-3배 낮게 나타난다. 

반응형